Xiaomi, EV에 E2E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기술 적용 표명
스마트폰 가전 메이커 Xiaomi가 전기자동차(EV)에 대한 첨단기술 적용에 의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Xiaomi는 2024년 11월, 48V 저전압 네트워크와 AI를 전면적으로 사용하는 “End-to-End(E2E)”의 자율주행 기술을 향후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행 EV에서는 대형 알루미늄 합금 부품을 일체 성형하는 “기가캐스팅”도 적용되고 있다. Tesla가 먼저 적용한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신뢰성에는 불안함이 남는다.
Xiaomi는 2024년 3월에 EV시장에 뛰어들었다. 2024년 11월에 중국 광저우(廣州)에서 개최된 “22회 모터쇼”에서는 Xiaomi의 EV 《SU7》의 판매 호조세를 어필했다. Xiaomi는 2024년 10월, 11월 연속으로 매월 2만 대 공급을 달성하면서 기세를 더해가고 있다.
Xiaomi는 광저우 모터쇼 직전에 보기류의 48V 저전압 네트워크의 적용과 E2E 방식의 자율주행 시스템이 다음 도입 예정인 아이템이라고 밝혔다.
모두 Tesla가 적용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는 기술이다. 특히 중국 메이커 중에서는 처음으로 48V 시스템의 개발을 표명한 것으로 보인다. Xiaomi는 48V 시스템과 전기 신호로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Brake-by-Wire(BBW)”, 스티어링 휠과 타이어를 전기 신호로 접속하여 타이어 각을 제어하는 “Steer-by-Wire(SBW)”를 조합한다.
브레이크나 스티어링의 응답성을 높여 자율주행 시스템의 고도화와 차량의 안전성 향상을 도모한다고 한다. 특히 BBW에서는 브레이크를 전자 제어화하고 유압 배관을 줄이거나 혹은 완전하게 없앰으로써 부품 수의 절감과 경량화, 부품 배치와 차량 설계의 자유도 향상 등을 도모한다.
ZF와 Continental과 같은 유럽의 메가 서플라이어 외에도 이탈리아의 Brembo나 Aisin 산하의 ADVICS, Akebono Brake와 같은 브레이크 전문 메이커도 BBW의 개발에 주력한다.
메이커들에 의한 BBW의 개발 로드맵에서는 대략적으로 2단계를 마련하는 경우가 많다. 1단계는 브레이크의 제동력의 과반을 담당하는 전륜 측의 유압기구는 남기고 후륜 측의 유압기구만을 없애는 시스템이다. 2단계는 후륜 측에서도 유압기구를 폐지한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Continental은 2025년에 북미의 자동차 메이커용으로 후륜 측에서 유압 기구를 없앤 시스템의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2028년에 실용화할 계획임을 밝히고 있다.
◆ Xiaomi는 한단계를 건너뛰고 “완전 by-Wire화” 인가
한편 Xiaomi는 BBW에 대해 “브레이크 오일을 사용하지 않아 유지보수가 불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유압기구를 남기지 않고 전륜 및 후륜의 브레이크를 한단계 건너뛰고 “완전 by-Wire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매우 도전적인 시도지만 유압기구를 완전히 없앤 BBW에서는 안전성을 높이는데 있어 리던던시(용장성)의 확보가 가장 중요한 해결과제가 된다. 스티어링 축을 없앤 SBW에서도 마찬가지지만 Xiaomi는 어떻게 리던던시화 할 것인가에 대해 아직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더불어 Xiaomi의 첫번째 EV 《SU7》에 대해서는 2024년 3월 출시 이후 브레이크의 불량 등에 의한 사고가 중국에서 잇달아 보고되고 있다. 기존 방식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불안함이 감돌고 있는 가운데 유압기구를 완전히 폐지한 BBW의 기술을 손에 넣고 다룰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남는다.
Xiaomi의 Lei Jun CEO는 2023년 말, 《SU7》 발표회에서 “향후 15~20년 안에 세계 5위 안에 드는 자동차 메이커가 될 것”이라고 선언한 바 있다. 세계 5위를 목표로 한다면 당연히 다른 중국 메이커와 마찬가지로 EV로 해외 진출을 하겠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첨단성이 중요해지는 중국시장에서 경쟁하는데 있어 신기술의 적용에 열을 올리는 것은 무리가 아니지만 중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자동차 사업을 목표로 한다면 안전성과 신뢰성, 애프터 서비스 등에 집중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314동 현대·기아 차세대자동차 연구관 5층
TEL. 02-870-8000 / FAX.02-886-1902
COPYRIGHT ⓒ 2021 HYUNDAI NGV.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