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산업성, 차량 라이프 사이클 전반의 CO2 배출량 산정 구조 구축
일본 경제산업성(經濟産業省)은 일본 메이커의 자동차 원재료 조달부터 재활용까지 전공정의 CO2 배출량을 산정하는 구조를 구축한다. 차량별로 환경부하를 명시하고, 소비자의 차량 선택이나 구입 보조 등 정책에 활용한다.
유럽과 미국은 자동차 1대당 CO2 배출량을 공개하는 정책을 검토하고 있으며, 일본도 대응을 서두를 방침이다.
2024년 연내 일본 자동차 메이커의 다양한 CO2 배출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증을 진행하고, 2025년에 계산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한다. 자동차 원재료 조달부터 제조, 주행 시, 폐차나 재활용까지의 “라이프 사이클”에서 배출하는 CO2의 양을 산정한다.
원재료 메이커나 재활용 회사 등이 시스템에 접근하여 각 공정의 CO2 배출량을 입력하고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든다. 주행 시의 배출량은 주행 거리 등을 바탕으로 전용 계산식에 대입해서 추계할 전망이다. 이들 데이터를 합산해서 차종별로 자동차 1대 당 CO2 배출량을 명시할 수 있도록 한다.
유럽과 미국시장에서의 환경 규제에 대응하고자 하는 측면도 있다. 유럽연합(EU)은 2025년 연내 지역 내에서 판매하는 EV의 차량용 배터리 CO2 배출량 공개를 의무화할 방침이다. 그 후에는 EV 배터리뿐만 아니라, 규제를 자동차 전체로 확대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 규칙이 적용되면 CO2 배출량이 많은 자동차가 시장에서 배제되는 정책이 입안될 가능성이 있다.
환경 의식이 높은 소비자로부터 외면당할 우려도 있다. 유럽에서는 BMW와 M-Benz 등에 의한 민관 데이터 플랫폼을 사용해서 자동차 전체의 배출량 산정을 위한 검증이 이루어진다.
일본에서의 산정 시스템 구축은 경제산업성이 중심이 되어 구축한 산업 데이터 플랫폼인 Ouranos Ecosystem을 활용한다.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증 사업을 Toyota나 Nissan 등이 참여하는 자동차 데이터 단체 “Automotive and Battery Traceability Center Association”에 위탁했다.
일본에서는 이미 EV 배터리의 CO2 배출량 산정이 시작되었다. 이번에 위탁을 받은 추진센터는 배터리에 관한 산정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경제산업성은 이에 대한 노하우를 활용해서 자동차 전체의 CO2 배출량을 파악할 방침이다.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314동 현대·기아 차세대자동차 연구관 5층
TEL. 02-870-8000 / FAX.02-886-1902
COPYRIGHT ⓒ 2021 HYUNDAI NGV.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