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산업성, FCEV 전략 재검토 - 상용차도 보급 대상에 포함
일본 경제산업성(經濟産業省)은 모빌리티에 대한 수소 및 연료전지 자동차(FCEV) 보급 전략을 재검토한다. 기존에 승용차를 중심으로 했던 보급 대응을 상용차로도 확대하고, 그와 더불어 수소충전소의 정비를 수요가 예상되는 지역으로 좁혀서 진행하는 방향으로 전환한다.
나아가 관련기업과 정부가 정보를 공유하고, 제품 개발과 인프라 정비, 법 개정을 함께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춘다. 우선 2030년을 목표로 “Mobility 수소민관협의회”에서 논의하고, 연내 새로운 방침을 발표할 계획이다.
▲ 수소충전소는 수요가 있는 지역에 중점적으로 설치한다
FCEV, 수소충전소는 함께 보급 정체기를 맞이하고 있다. 2019년에 개정한 “수소 및 연료전지전략 로드맵”에서는 일정 판매규모가 전망되는 승용차를 중심으로, 2025년에 20만대, 2030년에 80만대의 보급 목표를 내걸었다. 수소충전소는 2025년에 320곳을 목표로 했다.
다만 현재 FCEV의 보급대수는 약 7,400대, 수소충전소 수는 정비 중인 곳을 포함해 약 180여곳에 불과하다. 차량 수, 충전소 수 모두 일본정부의 목표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상용차 부문에도 중점을 둔 새로운 보급 전략을 구축한다. 상용차의 탈 탄소화를 실현하는데 있어, 최대 적재량 확보와 항속거리를 해결해야 하는 배터리 구동보다, 연료전지(FC)를 탑재하는 파워트레인을 유력한 후보로 보는 목소리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용차의 FCEV화 가능성을 모색할 방침이다.
2030년에 80만대 보급이라는 FCEV의 보급 목표 자체는 그대로 유지하되, 다양한 차종을 라인업 할 수 있도록 개발을 촉구하여 목표를 실현할 방침이다. 자동차 메이커와 석유생산자, 운송사업자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회에서, 각 기업의 제품 계획과 수소 가격 목표, 예상 시장 규모 등을 공유하고 기업이 투자하기 쉬운 환경을 정비한다.
수소충전소는, 수요가 예상되는 지역을 추린다. 기존에는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설치를 늘려나가는 것이 전략이었으나, 간선도로나 편의점 배송 등 상용 용도를 생각할 수 있는 지역에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것도 검토할 방침이다.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314동 현대·기아 차세대자동차 연구관 5층
TEL. 02-870-8000 / FAX.02-886-1902
COPYRIGHT ⓒ 2021 HYUNDAI NGV.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