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현대엔지비가 제공해 드리는 소식을 만나 보세요

  1. 홈으로
  2. 정보마당
  3. 주요 일정

주요 일정

'22년 한국신뢰성학회 춘계학술대회 현대자동차그룹 특별세션 진행

  • 작성일

    2022-07-13
  • 조회수

    1402

10

현대엔지비와 현대자동차는 지난 7 7일 제주 부영호텔에서 개최된 2022년 한국신뢰성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 신뢰성’을 주제로 특별세션을 개최했다.


본 행사에서는 한양대 배석주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학계에서는 카이스트 백종문 교수, 한양대 박준홍 교수, 고려대 최병호 교수, 한밭대 임재학교수, 한국기계연구원의 박종원

실장이 참여하였고, 산업계에서는 현대자동차 김형래 팀장, 유한민 책임연구원, 양희태 연구원, 네모시스 김종운 대표가 참여하였다,


1부 미래 모빌리티 신뢰성 기술 개발 제언 세션에서 발표된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다.

[현대자동차의 미래 모빌리티 신뢰성 개발 전략] - 현대자동차 연구개발품질확보팀 김형래 팀장

[시스템 신뢰성 분야 개발 동향, 방향 및 제언] - 한양대 배석주 교수

[소프트웨어 신뢰성 분야의 개발 동향, 방향 및 제언] - 한국과학기술원 백종문 교수


1부의 마지막 순서로는 패널 토론 진행되었으며, 배석주 교수 진행으로 모빌리티 관점에서의 시스템 신뢰성에 대한 질문에 각 분야별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이에 대한 질의응답을

주고 받는 시간을 가졌다.


참여 패널은 백종문 교수, 네모시스 김종운 대표, 한국기계연구원 박종원 센터장, 한밭대학교 임재학 교수로, 각자 미래 모빌리티 신뢰성 개발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대표적으로 배석주 교수는 “시스템 신뢰도 설정을 위해서는 개별 부품에 대해 가중치를 차등 적용하고, 이에 대한 안정성 평가지수를 마련해야 한다.

특히 안정성 평가지수를 마련할 때에는 고객의견이 포함되어야 하며, 회사 ESG 측면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라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백종문 교수는 “미래 모빌리티의 소프트웨어

신뢰성 확보를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고장을 동시에 고려하는 모델로 접근해야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2부에서는 신뢰성 연구 사례와 관련하여 학계 사례 2편과 현대자동차 사례 2편이 발표되었다.

[고압 수소용 고무 오링 소재의 가속수명평가에 대한 연구] - 고려대학교 최병호 교수

[전단 하중에 의한 체결부 볼트 풀림 메커니즘 분석 및 정량화 연구] - 한양대학교 박준홍 교수

[고전압퓨즈 신뢰성 검증방안] - 양희태 연구원

[신뢰성 TUV 리포트 개요 및 차량 신뢰성 향상 방안] - 유한민 책임연구원


마지막으로 현대엔지비 기술협력1팀 오기환 팀장은 총평에서 “오늘 특별세션에서의 수준 높은 발표와 토론에 감사 인사를 하며, 미래 모빌리티 신뢰성 기술 발전을 위한 산학연 협력 및

기술 교류를 활성화하고 전문가로 구성된 신뢰성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특별세션을 진행을 맡은 배석주 교수는 “현대자동차가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의 선도적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신뢰성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며, 산학연 협동을 통해 연구의 질을

높이는데 주력 해야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특별세션에서 발표한 개발 방향과 토론, 사례는 매우 우수한 연구 수준이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이 날 현대자동차 특별세션은 준비된 100여석의 자리가 만석일 정도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또한, LG전자를 비롯한 다양한 기업에서 참석하여 높은 수준의 질문이 오가는 등 깊이 있는

전문가 교류가 활성화 되어 현대차 신뢰성 기술 발전에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