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vian, 동절기 주행 판도 바꿀 열선 헤드램프 개발
Rivian은 매우 훌륭한 아이디어로 보이는 열선 헤드램프 렌즈 특허를 신청했다.
Rivian 차주들은 동절기마다 각종 게시판과 <Reddit>에 트럭의 헤드램프에 얼음이 쌓여 효과가 크게 낮아진다는 불만을 제기한다. LED는 눈과 얼음을 녹이기에 충분한 열을 방출하지 않으므로 사람이 직접 얼음을 걷어내야 한다. 몇 킬로미터를 주행할 때마다 이 작업을 계속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Rivian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열선 헤드램프 렌즈를 개발했다.
Rivian은 2023년 6월 열선 헤드램프 렌즈에 관한 특허를 신청했으며, 작년 12월 공개되었다. 특허 문서에 따르면 Rivian은 내장된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하여 렌즈 전체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 요소를 추가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빛이 렌즈를 투과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선택한 방식이다. 뒷좌석 창문에 설치되는 것과 같은 기존 전기 디프로스터(defroster)는 발열 요소를 투명한 선으로 쌓는 형태로 가시성이 다소 낮아진다.
애프터마켓에서 발열 기능이 있는 헤드램프를 구매할 수 있지만 대부분 둥근 형태로 요즘 차량에 사용되는 각진 하우징에 설치하기 어렵다. Rivian 차주들이 추가 헤드램프를 설치할 의향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이들은 분명 모든 기상 조건에서 트럭을 효과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헤드램프를 원할 것이다.
Rivian은 헤드램프에 발열 노즐을 설치하는 과거의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열선 렌즈가 더욱 유려한 해결책으로 보인다. 하지만 저항 발열(resistive heating) 요소를 렌즈에 내장하는 기존의 형태가 더욱 직관적이며 저렴한 해결책이므로 Rivian이 실제 생산에 어떤 방식을 적용할지 흥미롭게 살펴볼 만하다.
Rivian만 이 문제를 겪고 있는 것은 아니다. LED 헤드램프를 탑재한 모든 신차는 유사한 문제와 더불어 헤드램프 내부의 김서림 현상이 사라지지 않는 문제를 겪고 있다. 할로겐이나 제논(xenon) 램프는 훨씬 높은 온도로 작동하므로 이러한 램프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면 외장의 눈과 얼음을 녹이고 내부 습기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LED는 오늘날 대부분의 차량에서 선호되는 조명 형태이다. 다른 방식보다 전기 사용량이 훨씬 낮으면서도 광량은 높으며 제조사들이 빛의 방향과 분산 방식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기차의 경우 LED가 낮은 전기 소모량으로 항속거리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Rivian이 미국 특허청에 제출하여 <Motor Authority>에서 공개한 특허 도면은 일반적인 Rivian의 디자인을 반영한 헤드램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Rivian이 이 기술을 《R1》, 《R2》, 《R3》 중 어느 모델에 적용할지는 분명히 알 수 없다. 양산차에 적용된다면 자동차 제조사 중 두번째가 될 것이며, 경쟁사들도 뒤따를 것이다. 현재 공장 생산 단계부터 열선 헤드램프를 설치하여 출시된 차량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애프터마켓에서 Jeep 《Wrangler》와 《Gladiator》에 사용할 수 있는 열선 헤드램프를 구매할 수 있다. 다른 박스형 오프로드 차량에도 유사한 제품을 이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314동 현대·기아 차세대자동차 연구관 5층
TEL. 02-870-8000 / FAX.02-886-1902
COPYRIGHT ⓒ 2021 HYUNDAI NGV.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