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현대엔지비가 제공해 드리는 소식을 만나 보세요

  1. 홈으로
  2. 정보마당
  3. 모빌리티 트렌드

모빌리티 트렌드

ACT 엑스포, 전기차 및 배터리 관련 전시 개요

  • 작성일

    2024-06-05
  • 조회수

    304

0

청정 운송수단 박람회 ACT 엑스포에 전시회에 소개된 기술은 상용차의 발전을 조명한다.

                    

 

◆ 전기차

식음료 대기업 PepsiCo는 캘리포니아에서 Tesla 《Semi》의 화물 운송 능력에 만족하여 추가로 주문한다. Tesla가 《Semi》의 생산을 제한하면서 PepsiCo는 지금까지 이 트럭을 인도 받은 소수의 기업에 속한다. PepsiCo는 《Semi》 21대를 플릿에 포함하고 있으며, 50대 이상이 추가로 인도될 예정이다. PepsiCo가 운행하는 《Semi》는 작년 북미화물효율협의회(North American Council for Freight Efficiency)의 ‘런온레스’ 행사 중 일 평균 항속거리 등의 지표에서 경쟁 모델보다 뛰어난 성능을 증명했다.

Tesla 《Semi》 사업부의 선임 매니저 Dan Priestly는 2026년 다른 고객에게 《Semi》를 추가로 인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형 트럭 운송을 대규모로 다루기 위해 “EV와 이를 뒷받침하는 기반시설에 Tesla의 경험을 도입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Toyota의 대형 트럭 사업부 Hino Trucks는 Tern 브랜드로 전기 클래스8(Class8) 트랙터를 출시할 계획이다. 양사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Hino는 이 트럭을 생산하기 위해 Hexagon Plus와 최대 약 20억달러 가치가 예상되는 장기 계약을 체결했다. Hexagon Purus는 연료전지 및 배터리 전기차 부품을 개발한다. Tern 《RC8》 트럭은 Hino XL Series 샤시를 사용하며 Hexagon Purus의 무공해 기술을 적용한다. 또한 Dana의 전기 구동 모듈 전동 액슬(e-axle)과 Panasonic Energy의 배터리셀을 포함한다.

스쿨버스 제조사 Blue Bird는 EV 제조사 Xos 및 트럭 차체 기업 Morgan Olson과 협력하여 클래스5 및 클래스6 배송 밴 시장에 진출한다. 조지아주 메이컨에 소재한 Blue Bird는 ACT에서 프로토타입을 공개했다. 배송 밴은 스쿨버스와 주행 주기가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주간에 160km 미만의 일정한 도심 노선을 운행한 후 차고로 복귀해 주유나 충전을 진행한다. Blue Bird는 이미 전기 스쿨버스를 생산하고 있다.

스타트업 Harbinger Motors는 클래스4~클래스6 전기차 샤시를 생산하며 대기업과 상용차 대리점으로부터 ‘구속력 있는 주문(binding order)’ 4천건을 확보했다. Harbinger의 전기 샤시 대부분은 업피터(upfitter)에게 전달되어 Bimbo Bakeries USA 및 우편 서비스 사업자 Mail Management Services의 플릿에서 배송 밴에 탑재될 예정이다. 미국 인디애나주 엘크하트에 위치하며 캠핑카 Airstream과 RV로 잘 알려진 제조사 Thor Industries도 이 기업의 고객이다.

◆ 배터리/충전

이번 엑스포에서는 특히 성능과 관련된 배터리 기술의 발전이 두드러졌다. 배터리 전기 트럭은 여전히 디젤 트럭보다 가격이 높지만, 제조사들은 총소유비용을 낮추고 고객의 이익을 개선하는 데 집중했다. 전시 기업들은 고온에서 안정성이 높고 열화와 화재 위험이 낮은 세라믹 분리막(ceramic separator)을 적용한 배터리를 선보였다. 이러한 배터리는 중형 트럭의 유효 적재량(payload)을 높이고 히터를 개선해 동절기에도 EV 배터리의 성능을 유지한다.

충전 기업들은 클래스8 트럭의 배터리를 몇 시간이 아닌 몇 분 내에 충전할 수 있는 메가와트 충전의 발전을 공개했다. 이러한 기업들은 장거리 운송에서 전기차 채택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급속 충전이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TeraWatt Infrastructure의 CEO Neha Palmer는 “모두가 이 기술을 추진하고 있다”며, “특히 대형 트럭 시장에서는 메가와트 충전을 실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