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현대엔지비가 제공해 드리는 소식을 만나 보세요

  1. 홈으로
  2. 정보마당
  3. 모빌리티 트렌드

모빌리티 트렌드

Porsche, 중국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본격화

  • 작성일

    2023-07-20
  • 조회수

    551

0

자동차 메이커는 종종 뛰어난 투자팀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발굴함으로써 시장에서 누구보다 빠르게 자사의 사업과 매니지먼트의 레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다. 독일 고급 스포츠카 메이커인 Porsche도 예외는 아니다.

Porsche China 6 12일에 개최한 Porsche China Innovation Open Day 2023에서 에너지 관리의 디지털화를 다루는 “EnjoyElec”에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EnjoyElec: 배터리 AI 기술을 핵심으로 하는 가상 발전소(VPP) 솔루션 제공업체)

Porsche China 산하의 벤처 캐피탈 “Porsche Ventures”의 세번째 중국 투자 프로젝트이며, 이보다 앞서 가상 캐릭터를 만드는 “Wanxiang Tech”와 산업용 3D 프린터를 다루는 “INTANSYS Technology”의 2개사에도 투자했다.

투자한 프로젝트 중에는 이미 Porsche의 사업에 적용된 것도 있다. 예를 들어, Porsche의 Weissach 개발 센터에서 사용하는 3D 프린터의 일부에 이미 INTAMSYS Technology의 제품이 적용되고 있다.

5년 간 투자한 프로젝트가 3건이기 때문에, 투자속도는 결코 빠르다고는 할 수 없다. Porsche Ventures의 Ulrich Thiem 매니징 디렉터에 따르면,  Porsche Ventures의 투자는 모두 재무적 리턴이 아닌 전략적 시너지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펀드와 같이 빈번하고 빠르게 투자하는 경우는 없다고 한다.

Ulrich Thiem 매니징 디렉터는 “투자할 기업을 정하는 것만 적어도 6~9개월이 걸린다”고 설명한다.

확실하게 전략적 시너지를 얻기 위해, Porsche 사내에서는 모든 투자 프로젝트가 특정 사업부문의 동의를 얻게끔 되어 있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Porsche Ventures가 취급하는 모든 프로젝트는 그룹 내 특정 사업에 확실하게 이익을 안겨주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신규 프로젝트를 발굴하는 속도가 느려지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Porsche는 올해 4월, Porsche Ventures를 “Porsche Investments Management S.A.”로 분리해서 룩셈부르크에 본사를 두고, 2억 5,000만 유로를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에 충당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분사화에 관해서 Ulrich Thiem 매니징 디렉터는, Porsche Ventures의 의사결정권이 그룹 본사에서 투자 플랫폼으로 옮겨가면서, 투자팀은 보다 큰 결정권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앞으로는 투자속도의 향상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Porsche Ventures 중국 지역 책임자 Ostin Gong도 앞으로 보다 주체적이면서도 리턴도 중시하는 방향성으로 투자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Porsche Ventures가 취급하는 장르는 주로 4개다. 자동차산업과 모빌리티, 인텔리전트 기업,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SDGs: 탄소중립, 순환 경제, 지속 가능한 공급망 등), 플라잉카와 전동 자전거 등의 새로운 분야다.

Porsche는 지금까지 전세계에서 약 60개사의 스타트업에 직접 투자해왔으나, 중국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리 높지 않았다. 투자사업에 관해서는 중국에서는 마케팅이나 세일즈, ESG 분야 등을 취급하는 경우가 많고 현시점에서는 자동차 개발 등의 첨단 분야를 취급하는 일은 적다.

Ulrich Thiem 매니징 디렉터에 따르면, 중국에서도 유럽본부에서도 투자에 관한 방침은 동일하지만, 중점을 두는 포인트가 다르다고 한다. 유럽은 공급망이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자동차 산업 관련 투자가 많지만, 중국에서는 고객 중심의 기술과 SDGs 등 모빌리티 이외의 안건이 많다.

Ulrich Thiem 매니징 디렉터는 “중국에서는 벤처 캐피탈이나 스타트업을 둘러싼 생태계가 두드러지며, 정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생태계를 바탕으로 성공기업과 우량기업이 탄생할 것이라고 믿고 중국시장에서의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