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현대엔지비가 제공해 드리는 소식을 만나 보세요

  1. 홈으로
  2. 정보마당
  3. 모빌리티 트렌드

모빌리티 트렌드

BMW, 색상 변환 차량 양산 준비 ? 전자 잉크 기술 양산 가능성 시사

  • 작성일

    2023-07-12
  • 조회수

    859

0

BMW가 매우 급진적인 차량 외장을 선보일 준비를 하고 있다.

BMW는 특허 2건을 신청하며 조만간 차량의 외장 및 내장에 ‘유연한’ 맞춤화 및 개인화 방안을 제공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유연하다는 표현은 문자 그대로 모든 3차원 표면에 맞추어 부착 가능한 장식 필름(decorative film)을 의미한다. <CarBuzz>가 세계지식재산기구(WIPO)에서 발견한 특허 내용은 BMW가 《iX Flow》 콘셉트카에서 선보인 놀라운 전자 잉크(E Ink) 기술을 조만간 양산에 적용할 것이라는 사실을 시사한다.

지금까지 BMW는 개별 도장과 알로이 휠을 사용하거나 차체 외부 스킨에 장식 필름 또는 포일(foil)을 적용하는 방식으로만 차량 맞춤화를 제공했다.

하지만 이제 BMW는 고객이 모든 차량 표면에 장식 필름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두 번째 특허 내용이 이 부분을 다룬다. 이는 고객이 차량 심미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BMW가 신청한 특허 중 가장 최신 내용이다.

장식 필름에 관한 특허를 살펴본다. BMW는 투명과 불투명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스마트글라스 LCD 층을 장식 필름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말한다. 혹은 색상을 두 가지로 변환할 수 있는 전자 종이층이 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예전 BMW를 그리워하는 팬들을 위해 나무 베니어판도 언급한다.

디스플레이층은 백색 또는 흑색, 또는 고객이 선택한 색상 조합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볼(display ball) 수천 개로 구성된다.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필드가 적용되면 흑색 및 백색 피그먼트(pigment)가 반대쪽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객이 원하는 색상을 구현하며, 해당 색상은 실내에서 스위치를 통해 활성화할 수 있다. 실내 설계 요소에도 동일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장식 필름을 모든 3차원 물체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BMW 차주는 큰 그릴을 동일하거나 대비되는 색상으로 장식할 수 있다. 검정색 BMW 《M3》가 논란거리인 그릴의 색상을 바꿀 수 있다고 상상해보자.

빳빳할 것으로 예상되는 필름층을 3D 물체에 맞게 부착하기 위해 BMW는 별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요소 수천 개를 포함하는 필름을 개발했다. 이러한 요소들 덕분에 장식 필름으로 압축 부위나 팽창 면적 주변을 감싸는 작업이 쉬워진다. 표면의 슬릿 가공부는 레이저빔, 재단 기계 또는 다른 칼로 만들어져 장식 필름이 평평하게 펴진 상태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필름이 각 부위에 적용되면 차주가 도장의 간극을 알아채지 못할 정도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확장된다.

새로 출시된 BMW 《M2》를 살펴보면 볼록하게 올라온 파워돔의 원형 곡선부터 하부 그릴의 예리한 라인까지 대조적인 설계 요소가 적용되어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표면에 높은 품질 기준을 유지하면서 이 필름을 적용할 수 있다.

BMW의 두 번째 특허는 평면이 아닌 표면에 이 장식 필름층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차량에 붙일 수 있도록 필름 아래쪽에 접착력이 있는 코팅을 추가하는 것만큼 쉽다. BMW는 필름을 롤 형태, 또는 사전에 결정된 패턴 형태로 공급할지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지만 당장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

특허의 주요 목표는 차량에 접착할 수 있고 그 위에 보호 필름을 적용할 수 있는 유연한 장식 필름을 생산하는 것이다. BMW는 이 필름을 ‘캐리어 필름’(carrier film)이라고 칭하며 차량 랩핑(wrapping)과 유사하다고 말한다. 이 모든 필름을 함께 적용한 후 BMW는 추가 보호층 또는 투명 래커 코팅을 더하여 모든 필름을 보호한다.

상상하는 바와 같이, 맞춤화 방법은 무한하다. 이번 특허에서 주목할 점은 BMW가 사실상 색상 변환 기술을 주류에 도입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BMW는 첨단 기술인 전자 잉크를 채택했으며 양산 방법을 찾아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