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현대엔지비가 제공해 드리는 소식을 만나 보세요

  1. 홈으로
  2. 정보마당
  3. 모빌리티 트렌드

모빌리티 트렌드

일본 간사이지역, 플라잉카 실용화를 위한 적극적인 대응 추진

  • 작성일

    2023-01-11
  • 조회수

    780

0

플라잉카”는 2025년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의 주요 아이템 중 하나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효고현(兵庫縣) 내에서는 고베공항(神戶空港)과 아와지시마(淡路島)와 엑스포 행사장을 연결하는 여객 수송을 구상하고 있기 때문에, 2년 3개월 후의 엑스포 개막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실용화가 이루어지면 산간지방에서 구급이송이나 교통정체를 피한 통근수단으로의 이용 등으로도 확대될 것이라고 한다.

external_image
▲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에서의 여객 운송을 위해 SkyDrive가 개발하는 기체 “SD-05”

◆ 탈 수 있는 드론
일본 국토교통성에 따르면, 플라잉카는 명확한 정의가 없고 “전동”, “자동 조종”, “수직 이착륙”이 특징이라고 한다. 즉, 사람이 탈 수 있는 드론인 셈이다. 개인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자동차”라고 표기하고 있다.

오사카부(大阪府)와 기체 메이커 등은 2025년에 엑스포 행사장과 오사카항 주변과 공항 등의 2개 지점을 연결하는 여객 운송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일본정부는 운항 규칙과 이착륙장 정비 등의 제도 설계를 서두른다.

◆ 가속화되는 개발
스타트업 SkyDrive가 개발하는 기체 “SD-05”는 2인승이며 전장 9.4m, 높이 2.7m다. 기체 상부에 12개의 모터와 프로펠러가 동력이 되어 설계 상의 최고 시속은 100km, 최대 항속거리는 약 10km라고 한다.

해당 기체는 2021년 10월, 일본에서 처음으로 항공법에 근거하여 국토교통성의 기체 성능심사를 받게 되었다. 설계와 구조 등의 안전성 검증과 더불어 2024년 이후 비행 테스트도 실시할 예정이다.

SkyDrive의 담당자는 “항공기와 동일한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부품 하나 하나의 내구성을 증명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계 최초 실용화를 위해, 각국의 기체 메이커간 개발 경쟁도 심화되고 있다. 독일 Volocopter는 2019년에 싱가포르 도심에서 유인 테스트비행을 성공시키고, 2024년 파리올림픽에서 “플라잉 택시”를 운행할 계획이다.

Toyota가 투자하는 미국 Joby Aviation은 2022년 10월, 일본에서 사업을 전개하기 위해 국토교통성의 심사를 받게 되었다.

◆ 분위기 형성
효고현 내에서도 엑스포를 대비한 움직임 확대되고 있다. 지자체와 민간기업이 인재 육성에 나서고 있는 것 외에도, 아와지시마에 거점을 둔 기업이 이착륙장 정비를 검토한다.

2022년 9월에 고베시에서 열린 Drone Summit에서는 도쿄대학교(東京大學)발 스타트업 tetra Aviation의 기체가 주목을 받았다.

한편 새로운 이동수단에 대한 시만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도 해결과제다. 엑스포에서는 해상 비행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도시간 이동에 활용하는 것도 가정하고 있다.

오사카부는 올해 3월 오사카성 공원에서 일본 최초 유인 실증테스트 비행을 계획하고 있다. 미국 Lift Aircraft의 1인승 기체(전장 4.5m)를 사용하여 시민에게 플라잉카가 존재하는 사회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자동차가 날아다니는 미래로
오사카부 등은 엑스포에서의 여객운송을 시작으로 2030년에 조종사가 없어도 이동할 수 있는 자율주행화, 2035년에 기체의 대형화와 양산화를 계획하고 있다. 기체의 양산화를 위해서는 배터리와 모터, 프로펠러 등의 부품을 저렴하게 조달하는 구조가 반드시 필요하다.

기체의 운용과 이착륙장의 정비, 관리를 담당하는 사업자의 필요성에 대한 지적도 나오고 있어 오사카부는 관련 신규 산업이 창출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한편 SkyDrive가 추구하는 것은 편의점 주차장에 정차할 수 있는 승용차와 같은 콤팩트한 기체다. SkyDrive의 담당자는 “자동차가 하늘을 날아다니는 풍경이 당연해지도록 만들고 싶다. 최종적으로는 도로를 주행하고, 비행도 할 수 있는 기체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목록